Hyonuri

현대식 제례순서

제례란 제사를 지내는 의례를 뜻하며
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고 그 근본에 보답하고자 하는 정성의 표시입니다.

현대제례순서

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.

  • 1. 신위봉안(神位奉安)

    제상 위에 흰 종이를 깔고 제수를 진설한 뒤, 지방을 써서 붙인다.
    제주가 분향하고, 모사에 뇌주(술)를 붓는데, 이는 주와 참사자가 일제히 신위 앞에 두 번 절한다.

  • 2. 초헌(初獻, 첫잔 드리기)

    고인에게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.
    제주는 술잔을 채워 두손으로 받들고 향불 위를 거쳐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 앞쪽에 놓는다.
    집사가 없이 제주 혼자서 해도 무방하다. 잔을 올린 뒤 두 번 절한다.

  • 3. 독축(讀祝, 축문읽기)

    초헌이 끝나면 제주는 축문을 읽고 두 번 절한다.
    축문을 읽는 동안 다른 참사자들은 모두 꿇어앉아 머리를 조아리며 경건한 마음으로 듣는다.

  • 4. 아헌(亞獻, 버금잔 드리기)

    축문 읽기가 끝나면 주부가 두 번째 술잔을 올리고 네 번 절한다.

  • 5. 종헌(終獻, 끝잔 드리기)

    삼헌이라고 하며, 마지막으로 올리는 잔이다. 제주의 근친자가 세 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.
    종헌 후에는 술을 퇴줏그릇에 붓지않고 둔다.

  • 6. 삽시(揷匙, 식사권유)

    제수를 많이 드시라고 비는 의미로, 숟가락을 밥에 꽂고 모든 참사자가 고개를 숙여 묵념한다.
    숟가락은 바닥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.

  • 7. 헌다(獻茶)

    숭늉(혹은 냉수)을 국과 바꾸어 놓고,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물에 만 다음 수저를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고 잠시 국궁하고 있다가 일어난다.

  • 8. 사신(辭神, 신에대한 작별인사)

    참사자 일동이 일제히 신위 앞에 큰절을 올린다.
    안녕히 가시라는 작별인사를 드리는 것이다.

  • 9. 철상(撤床, 제상 정리)

    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르고, 상을 물린다.
    제사에 사용한 잔, 주전자, 퇴줏그릇에 있는 술은 모두 병에 부어 보관하는데, 이를 복주(福酒) 라고 한다

장례는 누구에게나 생소하고 어렵습니다.

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.

임종 시 전화 한통으로

모든 절차를 장례지도사가 진행해드립니다.

장례상담을 미리 받아보세요.
고객님이 원하는 시간에 맞춰 전화드립니다.

상담신청 바로가기

지금 전화로 간편하게 상담받으세요.
장례에 관한 궁금증을 모두 풀어드립니다.

상담전화 1833-9751

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63길 93 신송타워 207호 주식회사 효누리(이상현) 개인정보책임자 : 이상현 (hyo-1004@naver.com) 상담문의 : 1833-9751

  • 주식회사 효누리 블로그
  • 주식회사 효누리 네이버톡톡
  • 주식회사 효누리 카카오톡

2025 대한민국 신뢰만족도 1위 브랜드 - Trust Brand Awards

© 2023~2025 주식회사 효누리 / / Partner with Moowabo